11월 29일 농구월드컵예선 슬로베 vs 에스토

작성자 정보

  • 커뮤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73 조회
  • 3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11월 29일 【 농구월드컵 예선 】 슬로베니아 VS 에스토니아 해외경기분석 무료중계 스포츠분석 관련 이미지

✅농구 예선✅ 투맨게임으로 공략하고 결국은 포스트업으로 마무리한다!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는 돈치치를 중심으로 하프코트 공격을 설계하며, 대부분의 세트 오펜스가 그의 손에서 시작해 그의 선택으로 마무리되는 구조를 가져간다.

흐로바트는 윙에서 볼 핸들러와 커터 역할을 모두 수행하며, 때로는 직접 볼을 운반하고 때로는 코너와 45도를 오가며 수비의 시선을 계속 흔든다.

프레펠리치는 외곽에서 슈팅 위협을 제공하는 동시에 세컨드 볼 핸들러 역할을 겸하며, 드리블 풀업과 캐치앤슛을 모두 가져가는 스코어러로 기능한다.

특히 흐로바트와 프레펠리치로 이어지는 투맨게임 전략과, 프레펠리치를 중심으로 한 포스트업 플레이까지 더해지면 슬로베니아 팀의 공격 퍼포먼스를 상대가 코트 위에서 온전히 감당해내기란 쉽지 않다.

돈치치는 하이 픽앤롤에서 빅맨을 끌어올린 뒤 킥아웃 패스와 스텝백 쓰리포인트를 동시에 위협하며, 스위치 수비를 유도해 자신에게 유리한 미스매치를 꾸준히 만든다.

그래서 슬로베니아의 공격은 단순한 아이솔레이션이 아니라, 볼 스크린 이후 윙, 코너, 컷인까지 이어지는 다층적인 패스 흐름으로 이어지며 수비의 로테이션을 끝까지 시험한다.

프레펠리치는 미드포스트에서 포스트업으로 파울을 만들어내거나 턴어라운드 점퍼로 수비를 뒤로 물러나게 만들며, 필요할 때는 스크린을 타고 나와 빠른 캐치앤슛으로 템포를 끌어올린다.

흐로바트는 수비 리바운드 이후 곧바로 전환 상황으로 이어지는 레인 러닝이 좋고, 볼 없이 움직이면서도 틈새를 찾는 감각이 좋아 돈치치의 패스를 받아 쉽게 마무리할 수 있는 옵션을 꾸준히 열어준다.

결국 슬로베니아는 리드만 잡으면 돈치치의 게임 컨트롤 아래에서 페이스를 조절하면서도 투맨게임과 포스트업, 외곽 슈팅이 유기적으로 맞물린 완성형 공격 루틴을 끝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 팀이다.


✅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는 타스를 중심으로 인사이드에서 무게를 실으며, 세트 오펜스에서는 하이포스트와 로우블록을 번갈아 활용해 공격의 출발점을 만들려 한다.

타스는 스크린 이후 골밑으로 깊게 롤인하거나 엘보 지역에서 쇼트롤을 가져가며 패스를 나눌 줄 아는 빅맨이지만, 사이드 픽앤롤 상황에서 수비 로테이션 속도가 아주 빠른 편은 아니다.

라이에스테는 윙과 코너에서 수비 에너지를 책임지는 동시에 스팟업 쓰리포인트를 노리는 전형적인 3&D 타입으로, 공격에서는 공간을 넓혀주고 수비에서는 긴 팔을 활용해 패싱레인을 견제한다.

코논츠크는 트레일러 위치에서 올라오는 스트레치 포워드로, 얼리 오펜스에서 상단 쓰리포인트를 던질 수 있고, 미스매치 상황에서는 드리블 인 공격으로 골밑을 두드릴 수 있는 자원이다.

하지만 에스토니아는 볼 핸들러가 강한 프레셔를 받을 때 턴오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프론트코트에서 볼 순환이 끊기면 타스에게 무리하게 포스트업을 밀어넣는 단조로운 패턴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하프코트 공격이 막히는 구간에서는 킥아웃 패스 이후 추가 패스가 생략되면서 슛 셀렉션이 급격히 나빠지고, 외곽이 흔들리면 인사이드에서도 파워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수비에서는 스위치 이후 미스매치 정리가 늦어져 페인트존에서 세컨드 찬스를 허용하는 장면이 반복되고, 수비 리바운드 이후 전환으로 나갈 타이밍을 제대로 잡지 못해 페이스 싸움에서도 손해를 보는 편이다.

반면에 전환 상황에서는 적극적으로 뛰려는 의지는 있지만, 로테이션과 복귀 동선이 완전히 정리되어 있지 않아 실점과 팀 파울이 동시에 늘어나는 애매한 흐름이 자주 나온다.

결국 에스토니아는 초반부터 외곽 슛이 뜨겁게 터지지 않는 이상, 인사이드에서 버티는 힘이 후반으로 갈수록 떨어지며 점수 차가 한 번 벌어지면 다시 따라붙기 힘든 그림으로 흘러갈 위험이 큰 팀이다.


✅ 프리뷰

이번 예선 매치는 결국 골밑에서의 레벨 차이와 투맨게임 완성도가 승부를 가르는 경기다.

슬로베니아는 돈치치가 탑에서 공격의 템포를 쥐고 흔들고, 흐로바트와 프레펠리치가 양 측면에서 투맨게임과 컷인으로 수비 간격을 벌려놓으면서 에스토니아의 수비 구조를 계속 시험할 것이다.

흐로바트와 프레펠리치로 이어지는 투맨게임에서 엘보 스크린을 활용해 한 번 찢어놓고, 프레펠리치를 중심으로 한 포스트업 옵션까지 연결되면 수비 입장에서는 더블팀 타이밍도 잡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돈치치는 스위치 수비가 걸린 순간 미스매치를 정확하게 찾아들어가 파울을 끌어내거나, 코너와 윙에 숨은 슈터들에게 킥아웃을 뿌리며 에스토니아 수비를 계속 러닝 테스트 상태로 몰아넣을 가능성이 크다.

슬로베니아의 장점은 세트 오펜스가 막히는 구간에서도 돈치치의 개인 해결과 프레펠리치의 외곽, 흐로바트의 컷인까지 다양한 플랜B, 플랜C가 준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에스토니아는 타스에게 공을 투입해 인사이드에서 버티고, 라이에스테와 코논츠크가 외곽에서 템포를 끌어올리는 그림을 만들고 싶겠지만, 상위 레벨 가드의 픽앤롤을 끝까지 견디는 경험 자체가 부족한 편이다.

그래서 슬로베니아의 투맨게임이 한두 번 성공하는 순간부터 에스토니아 빅맨들의 헷지 타이밍이 흔들리고, 코너와 윙의 로테이션이 늦어지면서 실점 패턴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에스토니아가 승부를 뒤집으려면 초반부터 외곽이 고감도로 터지면서 스코어를 맞춰가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슬로베니아의 페인트존 도움 수비와 파울 관리 능력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또한 돈치치는 경기 흐름을 읽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대가 점프를 치는 타이밍에는 일부러 페이스를 늦추고, 리드가 벌어졌을 때는 전환 공격을 강조하는 등 게임 매니지먼트에서 차이를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스토니아가 한 번쯤은 빅라인업을 활용해 리바운드 싸움에서 버티려 할 수 있지만, 그 순간 외곽 수비의 기동력 저하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 리스크다.

결국 이 경기는 슬로베니아의 투맨게임과 포스트업, 그리고 돈치치의 경기 운영 능력을 에스토니아가 40분 내내 버틸 수 있느냐의 싸움인데, 현실적으로는 후반으로 갈수록 체력과 집중력에서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슬로베니아가 홈팀 분위기 속에서 자유투를 꾸준히 얻어내며 파울 트러블을 유도하고, 리바운드 안정감을 바탕으로 세컨드 찬스 득점까지 쌓아 올린다면 점수 차는 어느 순간부터 눈에 띄게 벌어질 것이다.

에스토니아 입장에서는 라이에스테와 코논츠크의 외곽이 동시에 터지지 않는 이상, 결국 타스의 인사이드만으로는 슬로베니아의 공격 퍼포먼스를 따라가기가 벅찬 흐름이다.

그래서 이 매치는 초반 몇 차례의 골밑 공방과 투맨게임 성공 여부에서 이미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고, 그 지점에서 슬로베니아가 더 높은 완성도를 보여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종합적으로 보면, 투맨게임으로 수비를 찢고 포스트업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슬로베니아의 공격 구조가 에스토니아 수비를 끝까지 끌고 다니는 그림을 상상하는 편이 더 자연스럽다.


✅ 핵심 포인트

⭕ 슬로베니아는 돈치치–흐로바트–프레펠리치 삼각 편성을 바탕으로, 투맨게임과 포스트업이 동시에 돌아가는 완성형 하프코트 공격을 구축하고 있다.

⭕ 에스토니아는 타스를 축으로 한 인사이드 공격은 존재하지만, 볼 프레셔와 로테이션이 강한 팀을 만나면 턴오버와 슛 셀렉션 악화로 흐름이 크게 흔들리는 약점을 드러낸다.

⭕ 리바운드와 파울 관리, 그리고 세컨드 찬스 득점에서 슬로베니아가 한 템포 앞선 움직임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아, 후반으로 갈수록 점수 차가 벌어질 여지가 크다.


⚠️ 결국 이 경기는 투맨게임과 포스트업에서 만들어지는 골밑 레벨 차이가 승부를 가를 것이고, 흐로바트와 프레펠리치의 투맨게임에 돈치치의 경기 운영이 더해지는 순간 슬로베니아가 예선 흐름을 완전히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 승부 예측 / 베팅 강도

[승/패] 슬로베니아 승 ⭐⭐⭐⭐ [강추]

[승5패] 승 ⭐⭐⭐ [추천]

[핸디] 핸디 승 ⭐⭐⭐ [추천]

[언더오버] 오버 ⭐⭐⭐ [추천]

[SUM] 홀 ⭐⭐ [조율]


✅ 마무리 코멘트

이 경기는 외곽 싸움보다 투맨게임과 포스트업에서 드러나는 인사이드 레벨 차이가 결과를 결정짓는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슬로베니아는 돈치치의 게임 컨트롤 아래 흐로바트와 프레펠리치의 투맨게임을 중심으로, 리바운드·세컨드 찬스·자유투까지 이어지는 정석적인 승부 운영을 펼칠 수 있는 팀이다.

에스토니아는 타스의 인사이드와 외곽 슈터들의 한 방으로 버티려 하겠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로테이션과 리바운드에서의 체력 저하가 동시에 드러나면 경기 흐름을 끝까지 붙들어 두기 어려울 것이다.

종합하면, 골밑 장악력과 투맨게임 완성도에서 한 수 위에 있는 슬로베니아가 예선 무대에서 자신들의 리듬대로 경기를 통제하며 승리를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쪽이 합리적인 선택이다.

관련자료

댓글 3

지혀뉘님의 댓글

  • 지혀뉘
  • 작성일
조합을 잘 해야대는데 ㅠㅠㅠ

루이까비님의 댓글

  • 루이까비
  • 작성일
답답하다 언제 먹냐

그레이스님의 댓글

  • 그레이스
  • 작성일
이정도면 오바 퇴근각인데

공지글


최근글


분석글


동영상


check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