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화권에서 국가적으로 제사 지내던 장소들 

작성자 정보

  • 커뮤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


창건연도: 10세기 이전(추정)


단군이 하늘에 제사 올리던 곳이라 전해지며 고려시대 이전부터 최소 1000년간 여기서 제사가 이뤄졌다고 함







서울 종묘


창건연도:1395년


역대 조선 왕과 왕비들의 신주가 모셔져 있는 사당





서울 사직단


창건연도: 1395년


조선시대 500년간 토지와 곡식의 신인 사직에 제사를 치뤘던 제단






서울 환구단


창건연도:1897년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대한제국 이후 건설. 현재는 중심건물인 황궁우와 삼문등이 조선호텔 내부에 남아 있음




서울 문묘


창건연도:1398년

공자와 한국과 중국의 거유(대단한 유학자들)를 모시는 사당. 성균관 안에 있음.



일본





이세신궁


창건연도: 기원전 4세기(일본서기), 690년부터 식년천궁(20년 마다 새로 건설)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신사이자 아마테라스를 모시는 신궁. 20년마다 새로 짓는 신궁으로 유명.






나라 카시하라 신궁

창건연도:1890년


일본의 초대천황을 모시는 신궁. 메이지 시대에 국가신토의 일환으로 창건.




도쿄 야스쿠니 신사


창건연도: 1869년


일본을 위해 희생한 군인들을 신으로 섬기는 신사. 대량의 전범이 합사되어 있어 정치적, 역사적 논쟁거리인 신사.







교토 헤이안 신궁

창건연도:1895년


헤이안 1100주년으로 세운 신궁. 헤이안 시대를 연 간무천황을 모심.





교토 이와시미즈 하치만궁


창건연도:860년


이세신궁과 함께 일본의 종묘 같은 역할을 한 곳




중국




베이징 천단


창건연도:1420년


대한제국의 환구단과 마찬가지로 황제가 하늘(상제)에게 제사 지내던 제단. 명청시대 내내 쓰임.





베이징 지단


창건연도:1530년


천단의 대칭 느낌으로 명청시대 황제가 땅에 제사 지내던 제단. 천단에 비하면 시각적으로 별게 없어서 인지도가 매우 떨어짐.


태산


태산 대묘

창건연도: 기원전 2세기


황제들이 태산을 찾았을 때 제사를 지내던 곳




취푸(곡부) 공묘


창건연도: 기원전 478년


공자의 고향인 산동 취푸(곡부)에 있는 공자 사당. 중국 전역에 있는 수많은 공묘들의 원형이며 문혁 때 큰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복구.




베이징 태묘


창건연도:1420년


명청시대 황제들의 위패가 있는 사당





베이징 사직단


창건연도:1420년


명청시대에 토지와 곡식의 신인 사직에 제사를 치뤘던 제단. 중산(쑨원)공원 부지 안에 존재.











베트남





하노이 문묘


창건연도:1070년


베트남서 공자와 거유들을 모시던 문묘.





후에 남교사


창건연도:1803년


응우옌 왕조가 천지(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던 제단.



후에 태묘

창건연도:1804년


응우옌 왕실을 모신 사당.




대만


타이페이 공묘


창건연도: 1879년


청나라 말기에 세운 공묘가 시작. 이후 대만을 먹은 일본에 의해 신사로 바뀌어버리는 등 많은 일을 겪음. 역사는 공묘 중 가장 짧은 수준이지만 현재도 국부천대 때 건너간 공자의 직계후손이 직접 제사를 지냄.







한자문화권에서 국가적으로 제사 지내던 장소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글


보증업체


최근글


분석글


동영상


check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