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처지면 AI도 못 쓴다" 한국 핵융합 조기 상용화 가동
작성자 정보
- 커뮤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 조회
- 목록
본문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에너지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합니다.
미국과 중국은 5년 안에 상용화를 선포하고 속도전에 나섰는데요.
뒤처지면 에너지 주권을 잃을 수 있다는 절박함 속에 우리 정부도 독자적인 '핵융합' 로드맵을 공개하고, 핵심 연구시설 구축에 나섰습니다.

핵융합에너지는 바닷물을 원료로 해 자원이 무한하고 폐기물도, 폭발 위험도 없는 청정 에너지원입니다.
고난이도의 기술이 필요하고, 장치가 대규모인 탓에 그동안 먼 미래의 기술로만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과 중국이 작지만 성능이 좋은 소형 핵융합로를 통해 5년 내 상용화를 선포하며 기술 경쟁에 불을 붙였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어제(22일) 소형 핵융합 상용화를 조기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10년 안에 8개 핵심기술을 개발해 2040년까지 상용화를 달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오늘(23일)은 2년 내 이 로드맵 실행의 전초 기지가 될 대규모 핵융합 첨단 연구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공모에도 착수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KSTAR(케이스타)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이터) 참여로 해외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미국은 민간 자본이 핵융합 분야에 누적 기준 10조원 규모로 폭발적으로 유입되고 있고,
중국은 국가가 연간 2조원에 육박하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천문학적인 자금을 쏟는 이유는 AI 등 첨단 기술을 전방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섭니다.
전력난 해소의 대안으로, 정부는 물론 구글, MS, 엔비디아까지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정 국가가 상용화에 성공하면, 기술 교류가 제한되고 특허 문제로 국산 기술은 무용지물이 됩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는 민간 참여가 저조해 몇백억 수준의 정부 예산에만 기대고 있는 실정입니다.


우선 미국, 중국과 달리 핵융합 기술이 국가전략기술에 포함되지 않아 예산 확보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민간 대기업의 공격적인 참여와 투자를 끌어내는 것이 속도전의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뒤처지면 AI도 못 쓴다" 한국 핵융합 조기 상용화 가동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