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기업 총수들중 자수성가에 해당하는 35명
작성자 정보
- 커뮤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4 조회
- 목록
본문

1. 김범수 카카오그룹 회장
연령 : 59세 (1966.03.27)
재산 : 6조 1200억원 (주식재산 기준)
학력 :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졸
기업명 : 카카오그룹 (재계서열 16위)
창립일 : 2006.11.29 (18년차)
매출총액 : 11조 4000억원
자산총액 : 34조 8000억원
사업분야 : IT, 핀테크, 게임, 엔터테인먼트
직원수 : 2만 344명
재계서열 16위 카카오그룹 설립자, 현재 국내 대기업 총수들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체를 일궜다고 볼 수 있고 카카오그룹의 주가가 고공행진을 기록할 당시 한때나마 대한민국 주식부자 1위 타이틀을 가지고 있기도 했음.
전남 담양에서 농부 집안의 자녀로 태어나 간신히 대학을 갔고 이후 삼성SDS 근무 중 90년대 말 IT붐이 불자 98년 한게임을 창립, 2000년 NHN을 이준호 회장과 공동으로 창립했고 단독대표를 역임하다가 퇴사했음.
2006년 카카오를 설립했고 설립 2016년 단 10년 만에 카카오를 준대기업급 규모의 기업집단으로 성장시킴. 물론 명과 암이 명확해서 분할상장 등으로 기업인으로써 최근 평가는 우호적이지 않은편이라고 볼 수 있음.

2. 정창선 중흥그룹 회장
연령 : 82세 (1943.01.19)
재산 : 5200억원 (비상장지분)
학력 : 광주무진중학교 졸업 (중졸)
기업명 : 중흥그룹 (재계 20위)
창립일 : 1989.03.29 (설립 36년차)
매출총액 : 15조 300억원
자산총액 : 24조 9350억원
사업분야 : 건설, 부동산, 금융, 미디어, 리조트
직원수 : 9394명
재계서열 20위이자 호남에 기반을 둔 대기업집단 중흥그룹의 설립자, 중졸 출신 도장공이며 부인 안양임 여사와 함께 1989년 중흥건설을 창립하여 자산 20조원대 대기업집단으로 성장시킴.
정 회장은 상당히 검소한 성품으로 중흥그룹 본사가 광주광역시에 있다보니 서울, 광주광역시 두 지역에 자택이 있는데 회사 인근 백반집에서 목격되는 등 소탈한것으로 알려졌음.
경영철학이 독특한데 '비업무용 자산 불매' '보증 금지' '적자 프로젝트 수주 금지' '3년치 자금계획 짜기' 등 4가지는 지금도 꼭 지킨다고 함.
현재 그룹은 장남 정원주 부회장이 승계받을 예정이고 차남 정원철 회장은 2019년 그룹의 계열사 시티건설그룹을 별도로 분할하여 독립했음.

3.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연령 : 67세 (1957.10.23)
재산 : 11조 186억원 (주식지분 기준)
학력 : 건국대학교 산업공학과
기업명 : 셀트리온그룹 (재계 21위)
창립일 : 2002.02.26 (설립 23년차)
매출총액 : 2조 8250억원
자산총액 : 25조 6960억원
사업분야 : 제약, 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직원수 : 3489명
우리나라 굴지의 제약대기업 셀트리온그룹의 설립자, 건국대학교 산업공학과 졸업 후 삼성전기 - 한국생산성본부를 거친 후 대우그룹에서 샐러리맨으로 일하던 중 IMF때 대우그룹이 부도가 나버림(..)
이후 2002년 제약회사 셀트리온을 창립했으며 미국 벡스젠사와 제약을 맺어 사업을 본 궤도로 올렸고 2009년부터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벤처기업의 상징으로 셀트리온을 성장시킴.
명동사채시장에서 신체포기각서를 작성하고 창업에 나섰을정도로 밑바닥에서 자수성가한 기업인으로 미국에서 창업투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머물 당시 던킨도너츠 직원이 그를 노숙자(..)로 착각하는 일도 있었음.

4. 이해진 네이버그룹 의장
연령 : 58세 (1967.06.22)
재산 : 1조 5600억원 (상장지분 기준)
학력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
기업명 : 네이버그룹 (재계 22위)
창립일 : 1999.06.02 (설립 26년차)
매출총액 : 10조 7610억원
자산총액 : 22조 8020억원
사업분야 : 포털, 플랫폼, 게임, IT, 금융
직원수 : 1만 5911명
재계서열 22위 네이버그룹 창립자이자 현 총수, 네이버의 개인 대주주로 지분 3.9%(약 1조 5600억원)를 보유하고 있음.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했고 이후 삼성SDS에 입사하여 사내벤처 네이버를 창립 후 99년 계열분리하여 독자적인 길을 가게 됨.
네이버를 국내 1위 플랫폼, 포털기업으로 성장시킨 경영자로 공식석상에 거의 나타나지 않아 '은둔의 경영자' 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 사내 직원들도 거의 본적이 없고(사실 회장급이니 볼일도 없을듯) 본인 성격도 나서는걸 기피하는 편임.
네이버를 굴지의 기업으로 성장시키면서 외부 투자를 수도없이 많이 받았고 그 과정에 본인의 지분도 희석되어 약 3.9% 개인지분을 보유중임. 이런 이유로 네이버의 2세 승계는 사실상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보여짐.

5. 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회장
연령 : 57세 (1958.10.17)
학력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재산 : 4조 870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미래에셋금융그룹 (재계 24위)
설립일 : 1997.07.01 (설립 28년차)
매출총액 : 22조 8690억원
자산총액 : 23조 2620억원
사업분야 : 증권, 자산운용, 캐피탈, 컨설팅, IT
직원수 : 6632명
재계서열 24위 국내 굴지의 금융대기업 미래에셋금융그룹의 설립자, 고려대 경영학과를 재학 중 근대화 이후 우리나라 최고 여성부자로 알려진 사채업자 '명동 백희엽 회장(백할머니)' 밑에서 금융에 대해 배웠다고 알려짐.
이후 동양증권, 한신증권, 동원증권을 거처 당시 동원증권 최연소 지점장. 임원을 역임하며 샐러리맨으로써 최고 자리까지 올라감. 이후 38세 나이에 미래에셋증권을 설립했고 대한민국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시켰음.
비상장기업인 미래에셋캐피탈(지분 34%)과 미래에셋컨설팅(지분 9%)를 보유중이며 비상장지분가치는 4조 8000억대로 추정되는중임. 본인은 2세승계를 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사실상 지주사격인 캐피탈 지분이 박 회장 일가가 다 보유중이라 확실하지는 않은것으로 추정됨.

6.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연령 : 84세 (1941.01.11)
학력 :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중퇴
재산 : 2조 1600억원 (비상장지분)
기업명 : 부영그룹 (재계 28위)
설립일 : 1983.03.16 (설립 42년차)
매출총액 : 8320억원
자산총액 : 21조 660억원
사업분야 : 부동산, 건설, 도시가스, 골프장, 리조트, 언론
직원수 : 2325명
재계서열 28위 국내 부영그룹의 설립자, 사실 학력으로 봐도 청년시절 건설과 다소 거리가 있는 전공을 나왔으나 40대 나이에 부영그룹을 창립한 후 사업에 뛰어들었음.
이른바 임대주택사업에 뛰어들었고 이 사업분야에서 부영그룹은 독보적으로 성장하여 국내 대기업집단에 편입될수가 있었음. 이런 이유로 부영그룹은 사실 매출액의 규모는 적지만 자산 즉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규모는 수십조원 단위라고 함.
부영그룹 지분 94%를 이 회장 본인이 보유중이며 사실상 개인 소유 기업집단이라고 볼 수 있음.

7.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연령 : 68세 (1957.06.27)
학력 : 호원대학교 경영학과
재산 : 1785억원 (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하림그룹 (재계 30위)
설립일 : 1978.03.01 (설립 47년차)
매출총액 : 12조 4850억원
자산총액 : 17조 3360억원
사업분야 : 가금류, 해운, 홈쇼핑, 축산업, 동물사료
직원수 : 1만 748명
재계서열 30위 하림그룹의 창립자, 전북 익산 출신이며 어린 시절부터 병아리를 키우며 양계농장 설립을 꿈꾼것으로 알려짐. 고등학생때 이미 닭 5000마리, 돼지 700마리를 키우는 부농이였다고....
하림그룹을 대기업 규모까지 키워낸 자수성가의 대표격인 기업인이며 현재 하림지주 지분 21%를 가지고 있는 개인 최대주주이기도 함.

8. 정태순 장금상선그룹 회장
연령 : 76세 (1948.12.20)
학력 : 한국해양대학교 항해과
재산 : 2조 8000억원 (비상장지분)
기업명 : 장금상선그룹 (재계 32위)
설립일 : 1999.04.14 (설립 26년차)
매출총액 : 7조 910억원
자산총액 : 14조 2010억원
사업분야 : 해운, 선박
직원 수 : 2815명
재계서열 32위 장금상선그룹의 창립자, 한국해양대학교 항해과를 졸업했고 이후 동남아해운에서 근무하다가 1989년 한중 합작 해운회사 장금유한공사가 설립되면서 정회장이 대표로 부임했으며 1999년 중국 지분이 빠져나가자 본인이 지분을 사들여 최대주주가 됨.
이후 장회장의 경영능력으로 재계 30위권 해운업계를 대표하는 대기업으로 장금상선그룹은 성장했음. 참고로 관상을 잘 신뢰해서 신입사원을 채용할때 관상가(...)를 앉히고 직원을 뽑는다는 회장님이 바로 이분임.

9. 우오현 SM그룹 회장
연령 : 71세 (1953.11.06)
학력 : 광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재산 : 1조 400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SM그룹 (재계 33위)
설립일 : 1988.01.08 (설립 37년차)
매출총액 : 5조 6420억원
자산총액 : 17조 790억원
사업분야 : 건설, 해운, 부동산, 금융, B2B, IT
직원수 : 6015명
호남을 기반으로 한 대기업집단 SM그룹의 창립회장, 광주대 건축공학과를 전공한 이후 병아리 10마리로 닭 2만마리 양계장을 키운 후 건설사업에 뛰어든것으로 알려졌음.
IMF 이후 적극적인 인수합병(M&A)로 SM그룹을 준대기업, 대기업 규모까지 키워냄. 현재 SM그룹은 하림그룹과 더불어 호남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중 한곳으로 불릴정도로 그 규모가 커진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음.

10.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
연령 : 64세 (1961.07.01)
학력 :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재산 : 4000억원 (비상장지분기준)
기업명 : 호반그룹 (재계 35위)
설립일 : 1989.07.01 (설립 36년차)
매출총액 : 8조 1630억원
자산총액 : 16조 930억원
사업분야 : 건설, 부동산, 전선, 유통, 언론, 리조트
직원수 : 3892명
재계서열 35위 호반건설그룹의 창립자,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 후 소규모 건설회사에서 근무하던 중 1989년 호반건설을 창립 후 재계 30위권 대기업집단으로 기업을 성장시켰음.
1997년 IMF로 대형건설사들이 부도가 나면서 토지를 헐값에 내놓자 그땅들을 사들여 주택개발사업을 시작했고 이를 토대로 호반그룹을 급성장시킬수가 있었다고 함.
일찌감치 2세 승계를 시작한터라 김 회장이 보유한 호반그룹의 지분은 적은편이며 2세들이 사실상 호반건설그룹의 대주주라고 할 수 있음.

11. 송치형 두나무그룹 의장
연령 : 45세 (1979.09.04)
학력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산 : 3조 750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두나무 (재계 36위)
설립일 : 2012.04.03 (설립 13년차)
매출총액 : 1조 230억원
자산총액 : 15조 8000억원
사업분야 : 가상화폐, IT
직원수 : 830명
국내 최대 규모의 가상화폐기업집단 두나무그룹의 설립자, 서울대학교 CS를 졸업한 후 일반 회사에 근무하다가 가상화폐기업 두나무를 창립 후 직접 현재까지 경영일선에 나서고 있음.
두나무의 비상장기업가치는 약 15조원정도로 추정되는데 송 의장은 두나무의 지분 25%를 보유한 최대주주임. 이를 고려 시 지분가치는 약 3조 8000억으로 추산함.

12. 김준기 DB그룹 창업회장
연령 : 80세 (1944.12.04)
학력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재산 : 6901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DB그룹 (재계 40위)
설립일 : 1969.01.24 (설립 56년차)
매출총액 : 22조 9310억원
자산총액 : 15조 7140억원
사업분야 : 반도체, 철강, 손해보험, 증권, 금융
직원수 : 1만 2164명
재계서열 40위 DB그룹(구 동부그룹)의 설립자,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후 25세 젊은 나이에 독자적으로 건설회사를 창립했으며 이미 1980년대에 창업 10년을 갓 넘긴 후 30개의 계열사를 가진 대기업집단으로 동부그룹(DB그룹)을 성장시킴.
한때 동부그룹은 재계서열 10위권까지 올라갔으나 유동성 위기, 주력사업 부진으로 인해 일부 계열사들이 매각되면서 재계서열 40위권까지 추락하게 되었음.

13. 유정현 넥슨그룹 의장
연령 : 56세 (1969.04.16)
학력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재산 : 5조 3000억원 (비상장지분가치)
기업명 : 넥슨그룹 (재계 41위)
설립일 : 1994.12.26 (설립 30년차)
매출총액 : 4조 2420억원
자산총액 : 11조 9070억원
사업분야 : 게임, IT서비스
직원수 : 7719명
재계서열 41위 넥슨그룹의 공동창립자, 초대 회장 김정주의 배우자로 넥슨그룹의 창립 초기부터 계열사(넥슨네트웍스) 대표이사직을 역임했고 김정주 생전 지주사 NXC의 대주주였고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여성부호였음.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부유한 여성 4위 + 가장 자수성가한 여성부자 2가지 타이틀을 가지고 있고 김정주 회장 별세 후 넥슨그룹의 지주사 NXC 의장직을 맡아 사실상 넥슨그룹의 경영을 총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14. 방준혁 넷마블그룹 의장
연령 : 56세 (1968.12.23)
학력 : 고등학교 졸업 (고졸)
재산 : 1조 1722억원 (상장지분가치)
기업명 : 넷마블그룹 (재계 45위)
설립일 : 2011.11.17 (설립 13년차)
매출총액 : 4조 960억원
자산총액 : 11조 3110억원
사업분야 : 게임, IT, 서비스, 정수기관리
직원수 : 1만 1291명
재계서열 40위권 대기업집단 넷마블그룹의 총수, 고등학교만 졸업한 고졸 출신으로 이후 넷마블의 전신인 게임회사를 창립 후 크게 키워 CJ그룹에 매각했으나 이후 다시 대표이사직과 중국의 게임회사 탄센트를 통해 지분까지 되찾고 계열분리하여 현재의 자리까지 넷마블이 성장했음.
현재 넷마블의 기업가치는 10조원이 넘는것으로 파악되었고 방의장은 지분 약 25%를 혼자 보유하고 있다고 함.

15. 박성수 이랜드그룹 회장
연령 : 72세 (1953.07.01)
학력 :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재산 : 8000억원 (비상장지분가치)
기업명 : 이랜드그룹 (재계 46위)
설립일 : 1980.02.14 (설립 45년차)
매출총액 : 4조 5920억원
자산총액 : 10조 9100억원
사업분야 : 백화점, 식품, 건설, 물류, 의류
직원수 : 1만 5132명
재계서열 46위 이랜드그룹 창업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 후 희귀병으로 인해 취업이 되지 않아 생계를 위해 작은 옷가게를 창업하여 재계 40위권 복합기업집단으로 키워냈음.
또한 기독교 신자인터라 과거 직원들과 마찰이 잦기도 했음. 은둔형 기업인인탓에 공식석상에 거의 나타나지 않아 의외로 관련된 정보가 거의 나타나지는 않았음.

16.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
연령 : 74세 (1950.12.16)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재산 : 1504억원
기업명 : 다우키움그룹 (재계 49위)
설립일 : 1986.01.09 (설립 39년차)
매출총액 : 10조 2550억원
자산총액 : 9조 5390억원
사업분야 : 금융,증권, IT, 소프트웨어
직원수 :5075명
재계서열 49위 다우키움그룹의 창립자, 한국 외국어대학을 졸업 후 한국IBM에 근무하던 중 다우키움을 창립한것으로 알려짐. 원래 다우키움그룹은 IT, 소프트웨어가 주력사업이였으나 금융업에 진출하면서 증권 등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혔고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될정도로 그 규모가 커짐.

17. 구교운 대방건설그룹 회장
연령 : 74세 (1951년생)
학력 : 미상
재산 : 미상 (2세 승계 마무리. 회사지분 0%)
기업명 : 대방건설그룹 (재계 51위)
설립일 : 1991.03.14 (설립 34년차)
매출총액 : 2조 4670억원
자산총액 : 8조 1600억원
사업분야 : 건설, 부동산
직원수 : 1046명
재계서열 51위 대방건설그룹 창립자, 은둔형 CEO이자 이미 십수년전 아들 구찬우 대표한테 사실상 그룹 승계를 마무리짓고 보유한 회사지분도 없는터라 그에 대해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음.
구 회장에 대해 알려진 정보는 대학에서 토목을 전공 후 건설기업 동문건설의 창립맴버였으나 이후 1991년 독립하여 대방건설그룹을 창립했다는 사실뿐임.

18. 윤세영 태영그룹 명예회장
연령 : 92세 (1933.05.22)
학력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재산 : 65억원 (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태영그룹 (재계 52위)
설립일 : 1973.11.20 (설립 51년차)
매출총액 : 6조 6000억원
자산총액 : 12조 3150억원
사업분야 : 건설, 리조트, 미디어, 부동산, 물류,
직원수 : 7520명
재계서열 52위 태영그룹의 설립자, 대학을 졸업 후이동녕 국회의원의 사무실에서 보좌관으로 근무 중 그가 창립한 건설회사 봉명그룹에서 경력을 쌓고 동부건설에서 김준기 회장과 함께 동업을 했으며 이후 1973년 태영건설을 창립했음.
이후 신사업으로 미디어를 선택하고 1990년 민영방송국 SBS를 설립했음. 태영그룹은 전성기때 재계서열 33위까지 올라가기도 했음. 그러나 윤세영 명예회장의 아들 윤석민 회장의 경영능력 부족으로 인해 태영그룹의 계열사 태영건설이 휘청거리면서 일부 계열사를 매각했고 현재 재계서열 50위권까지 내려감.

19. 곽재선 KG그룹 회장
연령 : 66세 (1959.01.15)
학력 : 인천대학교 기계공학과
재산 : 4590억원 (비상장지분가치)
기업명 : KG그룹 (재계 54위)
설립일 : 1985.03.22 (설립 40년차)
매출총액 : 9조 1840억원
자산총액 : 9조 1600억원
사업분야 : 화학, 식음료, 금융, B2B, IT, 언론, 철강
직원수 : 8446명
재계서열 50위권 준대기업집단 KG그룹의 창업주, 인천대 기계공학과를 졸업 후 20대 나이에 '세일기공'이라는 중공업기업을 창립했음. 이후 기업을 중견기업 규모로 키운뒤 2003년 '경기화학(현 KG케미칼)'을 인수하면서 사실상 복합기업집단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함.
이후 '이데일리' '동부제철' '할리스커피'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면서 대기업급으로 KG그룹의 규모는 성장했고 현재 재계 50위권까지 재계순위가 급상승했음.

20. 이동채 에코프로그룹 회장
연령 : 65세 (1959.12.10)
학력 :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재산 : 2조 2570억원 (주식지분 기준)
기업명 : 에코프로그룹 (재계 55위)
설립일 : 1998.10.02 (설립 27년차)
매출총액 : 9조 20억원
자산총액 : 9조 3000억원
사업분야 : 전지, 에너지, 엔지니어링
직원수 : 3544명
재계서열 50위권 대기업집단 에코프로그룹의 창립자, 영남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후 한국주택은행, 삼성전자를 거친 후 공인회계사로 1998년 에코프로그룹을 창업했음.
2차전지사업이 유력산업이 되면서 에코프로그룹 역시 연매출 9조원대 준대기업으로 커졌고 한때 대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으나 현재 준대기업집단으로 분류되고 있음.

21. 김재철 동원그룹&한국투자금융그룹 명예회장
연령 : 90세 (1935.04.03)
학력 : 부산수산대학교 학사
재산 : 3850억원 (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동원그룹 (재계 57위)
설립일 : 1969.04.16 (설립 56년차)
매출총액 : 9조 380억원
자산총액 : 9조 3830억원
사업분야 : 식품, 운송, 수산업, F&B, IT
직원수 : 1만 2016명
기업명 : 한국투자금융그룹 (금융지주)
설립일 : 2003.01.11 (동원에서 계열분리)
매출총액 : 21조 1741억원
자본총액 : 9조 7340억원
사업분야 : 증권, 보험, 캐피탈, 자산운용, 화학, 운송
직원수 : 5112명
재계서열 50위권 대기업집단 동원그룹, 금융지주기업 한국투자금융그룹의 창립자. 원래 선박의 선장이였다가 이후 1969년 동원산업을 설립했고 금융지주를 설립해서 금융업까지 진출했음.
장남에게 한국투자금융그룹을 승계 후 일찌감치 계열분리했고 현재 양 그룹의 명예회장으로 재임중임.

22. 장병규 크래프톤그룹 의장
연령 : 52세 (1973.04.25)
학력 : 카이스트대학교 전산학과
재산 : 2조 400억원 (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크래프톤그룹 (재계 60위)
설립일 : 2007.03.26 (설립 18년차)
매출총액 : 2조 7890억원
자산총액 : 8조 5000억원
사업분야 : 게임, 미디어, IT 등
직원수 : 2251명
재계순위 60위권 준대기업집단 크래프톤그룹 설립자, 네오위즈라는 게임사의 창립맴버로 2007년 독자적으로 크래프톤을 설립해서 창립 18년만에 준대기업집단으로 기업을 키워냄.
.

23. 김웅기 글로벌세아그룹 회장
연령 : 74세 (1951.09.28)
학력 : 전남대학교 섬유공학과
재산 : 1조 1024억원
기업명 : 글로벌세아그룹 (재계 61위)
설립일 : 1986.03.10 (설립 39년차)
매출총액 : 5조 7000억원
자산총액 : 8조 2000억원
사업분야 : 건설, 섬유, IT, 부동산, B2B
직원수 : 4190명
재계 60위권 대기업집단 글로벌세아그룹의 창립자 겸 현 회장. 전남대학교 섬유공학과를 졸업 후 회사생활을 하다가 1986년 글로벌세아그룹을 창업했음. 비상장기업인 글로벌세아 지분을 84% 보유중인데 보유지분가치는 1조 1000억대로 추정되는중임.
24. 문주현 MDM그룹 회장
연령 : 67세 (1958.03.08)
학력 : 경희대학교 회계학과
재산 : 855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엠디엠그룹 (재계 63위)
설립일 : 1998.04.02 (설립 27년차)
매출총액 : 1조 8410억원
자산총액 : 7조 9000억원
사업분야 : 부동산, 금융, 투자
직원수 : 453명
재계서열 63위 엠디엠그룹 창업자 겸 현 회장. 가난한 가정의 자녀로 태어나 자수성가한 기업인으로 대학도 뒤늦게 사회생활을 하다가 입학한것으로 알려짐.
대기업집단 나산그룹의 부동산사업부에서 근무하다 IMF로 나산그룹이 부도가 나면서 본인이 직접 부동산개발회사를 창업하는데 그게 엠디엠그룹의 시작이였다고 함. 이후 금융업까지 사업분야를 확장하면서 재벌의 반열에 오르게 됨.

25. 박춘희 대명소노그룹 회장
연령 : 71세 (1954.02.02)
학력 : 미상
재산 : 5280억원 (비상장지분가치)
기업명 : 대명소노그룹 (재계 64위)
설립일 : 1979.02.14 (설립 46년차)
매출총액 : 1조 3531억원
자산총액 : 7조 3000억원
사업분야 : 리조트, 상조업, 건설, IT
직원수 : 5048명
재계 60위권 레저분야 준대기업집단 대명소노그룹의 공동창립자, 넥슨그룹 유정현 의장과 더불어 단 2명뿐인 여성대기업설립자로 확인됨. 남편 서홍송 회장 별세 후 바로 회장직에 올라 대명소노그룹의 경영을 주도했음.
IMF 당시 비주력사업들을 다 정리하고 주력사업인 리조트, 호텔업 위주로 대명그룹 사업분야를 정했고 이후 건설,상조업까지 진출하면서 그룹의 규모를 준대기업급으로 키워냄.

26. 이기승 BS(보성)그룹 회장
연령 : 74세 (1951.07.24)
학력 :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재산 : 175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보성그룹 (재계 67위)
설립일 : 1978.10.25 (설립 47년차)
매출총액 : 2조 6490억원
자산총액 : 7조 2000억원
사업분야 : 건설, IT, 부동산, 섬유. 환경설비
직원수 : 1748명
재계서열 60위권 준대기업 보성그룹의 설립자 겸 회장. 성균관대학을 졸업 후 환경설비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보성그룹을 창업했음. 이후 여러 사업분야로 진출하며 '그룹'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준대기업규모로 그룹이 성장하게 됨.

27. 유재필 유진그룹 명예회장
연령 : 93세 (1932.09.30)
학력 : 조선대학교 법학과
재산 : X (2세 승계 마무리)
기업명 : 유진그룹 (재계 71위)
설립일 : 1954.04.12 (설립 71년차)
매출총액 : 4조 3720억원
자산총액 : 6조 7000억원
사업분야 : 건설, 건자재, 물류, 금융, IT, 에너지
직원수 : 4167명
재계서열 71위 유진그룹의 창업주, 조선대 법학과를 졸업 후 제과업체를 설립해서 건빵 군납을 시작으로 재계 70위권 대기업 유진그룹을 키워냈음. 2004년 아들 유경선 회장에게 승계를 마무리하고 사실상 경영일선에서 은퇴했음.

28. 권홍사 반도건설그룹 회장
연령 : 81세 (1944.04.27)
학력 :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재산 : 4500억원 (비상장지분기준)
기업명 : 반도건설그룹 (재계 75위)
설립일 : 1980.05.20 (설립 45년차)
매출총액 : 1조 4350억원
자산총액 : 6조원
사업분야 : 건설, 부동산, IT, 레저
직원수 : 747명
재계 70위권 준대기업집단 반도그룹의 설립자 겸 회장. 경북 의성 출신으로 13세 나이에 부산으로 내려와 자리를 잡았음. 1970년 개인회사 설립을 시작으로 1980년 반도건설을 설립했고 재계 70위권 준대기업으로 그룹을 키워낸것으로 알려짐.

29. 최윤 OK금융그룹 회장
연령 : 62세 (1963.09.06)
학력 : 고등학교 졸업
재산 : 4400억원 (비상장지분기준)
기업명 : OK금융그룹 (재계 77위)
설립일 : 1999.04.28 (설립 26년차)
매출총액 : 2조 6470억원
자산총액 : 5조 7000억원
사업분야 : 대부업, IT, 금융투자, 캐피탈
직원수 : 2124명
일본 나고야 출신 재일교포이며 재계 70위권 준대기업 OK금융그룹 설립자, 원래 일본에서 요식업 사업을 하다가 대부업사업으로 진출했고 재계 70위권까지 본인이 설립한 기업을 성장시켰음.

30. 정춘보 신영그룹 회장
연령 : 70세 (1955.07.06)
학력 :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재산 : 920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신영그룹 (재계 82위)
설립일 : 1989.05.01 (설립 36년차)
매출총액 : 1조 7700억원
자산총액 : 5조 3000억원
사업분야 : 부동산, IT, 건설, 섬유 등
직원수 : 702명
재계서열 82위 신영그룹의 총수 겸 설립자, 대학 졸업 후 부산광역시의 공무원으로 근무하다가 1980년대 후반 부동산기업 신영을 설립 후 사업을 확장하면서 준대기업 규모까지 신영그룹을 성장시킨것으로 알려짐.
신영그룹 지주사 신영의 지분을 약 90% 가지고 있는데 지분가치는 9200억원으로 추산되고 있음.

31. 권혁운 아이에스동서그룹 회장
연령 : 75세 (1950.10.02)
학력 : 미상
재산 : 1500억원 (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IS동서그룹 (재계 84위)
설립일 : 1975.05.01 (설립 50년차)
매출총액 : 2조 4330억원
자산총액 : 5조 4000억원
사업분야 : 건설, 부동산, IT, 환경엔지니어링
직원수 : 2589명
경북 의성 출신이며 재계 80위권 건설회사 IS동서그룹의 회장, 반도그룹 권홍사 회장과 형제지간으로 알려졌고 형제가 나란히 건설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삼아 본인이 창립한 기업을 준대기업 규모까지 키워낸 사례라고 볼 수 있음.

32. 방시혁 하이브그룹 의장
연령 : 53세 (1972.08.09)
학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재산 : 3조 7852억원
기업명 : 하이브그룹 (재계 85위)
설립일 : 2005.02.04 (설립 20년차)
매출총액 : 2조 1470억원
자산총액 : 5조 4000억원
사업분야 : 미디어, 엔터, IT
직원수 : 1850명
재계서열 80위권 준대기업이자 국내 순수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하는 대기업들중 최대규모에 해당하는 하이브그룹의 설립자 겸 의장, 서울대학교를 졸업 후 음악 관련 레이블 사업을 하다가 BTS를 발굴한뒤 돈방석에 앉게 됨.
본인이 창업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도 여러 레이블을 인수하면서 자산규모가 5조원을 넘기게 되었고 준대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림.

33. 이용한 원익그룹 회장
연령 : 71세 (1954.04.06)
학력 :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재산 : 4700억원 (상장지분기준)
기업명 : 원익그룹 (재계 89위)
설립일 : 1991.09.19 (설립 34년차)
매출총액 : 2조 6600억원
자산총액 : 5조 2000억원
사업분야 : 전지, IT, 반도체, 특수가스
직원수 : 5880명
재계서열 89위 원익그룹 창업주.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무역사업으로 시작해서 반도체, IT 등 사업분야를 넓혀 오늘날의 원익그룹을 재계 80위권 대기업으로 키워냈음.

34. 이정훈 빗썸그룹 회장
연령 : 49세 (1976.07.15)
학력 :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재산 : 1조 4000억원 (비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빗썸그룹 (재계 90위)
설립일 : 2013.12.01 (설립 11년차)
매출총액 : 4964억원
자산총액 : 5조 2000억원
사업분야 : 가상화폐
직원수 : 629명
국내 최대 규모 가상화폐 기업 빗썸의 창업자.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 후 사기업에 근무하다가 30대 후반에 빗썸을 창업했음. 빗썸의 보유자산이 5조원을 넘기고 준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서 준대기업 총수 반열에 이름을 올림.

35. 성기학 영원무역그룹 회장
연령 : 78세 (1947.07.08)
학력 :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재산 : 5414억원 (상장지분 기준)
기업명 : 영원무역그룹 (재계 92위)
설립일 : 1974.07.01 (설립 51년차)
매출총액 : 4조 9960억원
자산총액 : 5조원
사업분야 : 의류, 유통, 무역, 부동산
직원수 : 3052명
재계서열 92위 영원무역그룹 회장 겸 설립자,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한 후 영원무역그룹을 창업했음. 이후 노스페이스 등을 제작하며 영원무역그룹의 주력사업은 의류사업이 되었고 준대기업 반열에 오를정도로 그룹이 성장함.
대략 이 35명임
한국의 대기업 총수들중 자수성가에 해당하는 35명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if)






